ABOUT ME

Today
Yesterday
Total
  • 넷플릭스냐 왓챠냐.. 맛보고 써보고 뜯어보는 리얼 후기 (예기많소리 주의)
    카테고리 없음 2020. 3. 14. 16:02

    최근 내 블로그를 본 사람들은 알다시피 킬링 타이더와 멀티에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은 거의 넷플릭스와 함께 한다. 참고로, 나는 n년간 왓챠유저였는데, 올해 7월부터 넷플릭스를 결제하기 시작해서 왓챠는 끊었다고 생각했는데, 다시 구독을 했었다(잊고 있어서 오거의 매일 알았다구, 아이챠) 두 플랫폼은 대등한 것처럼 보이지만, 차이도 커서 과거의 내가 둘다 결제를 해놓은것 같아..결론부터 말하면 구독 후 왓챠가 더 오래됐는데 이용시간은 넷플릭스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길다.지금 두 플랫폼을 구체적으로 다 잘게, 되게 물어뜯고 비교해본다.


    >


    >


    먼저기본스펙부터비교합니다.


    넷플릭스


    >


    왓챠


    >


    기본가격은 넷플릭스가 1인당 9500포인트로 높다. 하지만 모든 기기에서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더 높은 스펙의 이용권을 구입할 경우 동시접속+hd화질로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동시접속을 쓸 의향이 있다면 넷플릭스가 경제적으로 나쁘지 않은 것 같다. 하지만 나의 경우 누구와 공유하는 것은 정말 싫어.



    두 가지를 선택하는데 가장 큰 비교가 되는 부분입니다.넷플릭스


    >


    왓챠


    >


    콘텐츠 수만 놓고 보면 왓처가 압승이다. 넷플릭스는 America 플랫폼이기 때문에 America에서는 즐길 수 있는 컨텐츠가 많고 다양하다. 그러나 한국에서는 이용 가능한 콘텐츠가 적다.반면 왓처는 국내 플랫폼이어서 사용 콘텐츠 수가 압도적이다.(왓챠는 해외에서 이용 불가, 넷플릭스는 정부별 가능 컨텐츠가 바뀐다.) 컨텐츠의 특징, 넷플릭스 컨텐츠의 큰 메리트는 넷플릭스 오리지날. 하우스 오브 카드, 보디가드(는 BBC와 협력), 기묘한 스토리 등 트렌드 있는 시리즈가 많다. 최근에는 아시아 콘텐츠를 강화하기 위해 한국용 콘텐츠도 제작 중이다.왓처는 국내 콘텐츠가 압도적으로 저팬이나 중국 등 아시아 콘텐츠가 많다. 드라마, 영화, 예능을 막론하고 대히트를 치고 있으며 로맨틱 코미디와 마블 시리즈 등 킬링타임용 영화, 다큐멘터리, 예능이 많다.하지만 압도적인 콘텐츠 수 차이에도 불구하고 내가 넷플릭스를 더 많은 시간 이용하는 이유는 넷플릭스 콘텐츠가 더 마니아적(한마디로 중독성이 강하다) 때문이다. 영도, 미드 중에서도 북미에서 트렌드가 있었던 시리즈가 많아 액션, 정치, 미스터리, 판타지 관련 미드에 강하다. 예능도 America의 스탠딩 코미디, 다큐멘터리도 정치(사람), 요리, 왕실, 자동차, 스포츠 등 보다 전문적인 스토리가 많다.반면 왓챠 콘텐츠는 이미 이야기한 것처럼 타임킬링용 콘텐츠가 많고 다큐멘터리의 경우도 더 대중적인 교양 시리즈, 드라마도 시트콤, 사랑, 영상미, 잔잔한 키워드가 많다.그래서 나는 중독성이 강한 넷플릭스 콘텐츠를 선호한다.


    일단 빅데이터 추천은 넷플릭스가 더 잘한다. 알고리즘의 차이는 잘 모르겠지만, 왓챠에서는 추천할 만한 컨텐츠가 당신들이 많아서 별로 흥미가 생기지 않는다. 그러나 넷플릭스의 경우 추천 작품은 대부분 한번의 마음에 들며 나쁘지 않게 잘 어울리는 것도 추천한다.빅데이터 추천과는 무관하지만 동영상을 선택하면 왓처는 다른 사용자의 평가를 볼 수 있다.


    넷플릭스의 카테고리 분류/검색에 불편하기 때문에 쓴 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. 정예기 검색으로 불편.


    검색 비교


    넷플릭스


    >


    >


    "보디가드", "휴그랜트"로 검색.이렇게 뻔한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검색이 안 돼. 검색 기능이 왜 있는지 모를 정도로 앱 검색이 안 된다.   개대답;;;;; <수정사항> <정화바보에게도 이거 내가 앱 업데이트를 안해서였다.


    >


    업데이트 후 검색이 잘 됩니다.넷플릭스 죄송합니다.


    왓챠


    >


    >


    왓챠는 배우명으로 검색해도 출연 작품이 모두 검색된다.


    카테고리 분류


    넷플릭스


    >


    왓챠


    >


    왓처의 경우 장르국가특징(태그)에서 카테고리가 세분화돼 있으며 메인화면에도 카테고리별로 추천다른 사용자가 만든 추천목록을 표시(메인화면은 넷플릭스가 더 낫다는 사람도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왓처가 직관적이고 좋다고 생각한다. 세련미는 넷플릭스)


    넷플릭스


    >


    왓챠


    >


    왓처의 경우 스크롤을 굳이 터치하지 않고 화면에서 손가락을 왼쪽과 오른쪽으로 이동만 해도 재생 시 이동할 수 있다. 특히 +00:0하나 이렇게 초 단위로 움직이기 때문에 과인노 감상이 가능.그런데 넷플릭스는 스크롤을 직접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손가락이 뚱뚱해지면 과인노 단위로 보기도 어렵다.


    넷플릭스


    >


    왓챠


    >


    >


    넷플릭스의 경우 장점은 CC자막 지원이다. 위의 캡쳐와 같이 원어자막이 지원된다. 한편 왓처의 경우 원어자막 지원이 안 되는 것도 있지만 인기 콘텐츠의 경우 다중자막 선택이 가능하다. 영어/한국어, 한국어/영어 순서의 선택도 가능하며, 아래와 같이 보기 다중자막으로 외국어 공부하고 싶은 시청자에게는 꿀!


    결론적으로 가격이 과도한 콘텐츠의 경우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. 마니아적으로 북미 콘텐츠를 즐긴다면 넷플릭스, 아시아 콘텐츠인 대중적이고 다양한 콘텐츠를 즐기고 싶다면 왓처를 선택하면 된다. 대부분의 시청자는 과자처럼 콘텐츠에 따라 왓챠냐 넷플릭스냐를 선택할 것이다.그라인 사용감 측면에서는 왓처가 더 편하다. 디자인적인 세련미는 넷플릭스가 우세하지만 글로벌 베스트셀러 앱인 점과 가격을 고려하면 넷플릭스 사용감에 불편한 점이 좀 많다. 왜 맛집에 가면 '여기는 맛있으니까 불편하면 내용이라든지 이런 느낌도... 콘텐츠 제작뿐만 아니라 업그레이드도 좀 해주세요. 그럼 이만 넷플릭스를 보러 가겠습니다.

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